728x90
반응형

帝喾 3

商代 갑골문 高祖 분석

商代 일상은 제사 그리고 제물로 바칠 人犧 노예를 확보하기 위한 전쟁이었다. 商 왕실은 宗廟社稷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선조들에게 제사했다. 商 왕실의 선조는 商代 개국 이전 설화상 先公과 商代를 지배한 先王으로 나뉘고, 先公은 또다시 卜辞에서 자연신의 신위를 지닌 遠祖先公과 先王의 신위를 지닌 직계조상 近祖先公으로 나뉜다遠祖先公은 즉 商 왕실과 혈연상 연관이 없는데 이러한 연유로 그들은 후기 제례 개혁으로 제사에서 삭제되었다. 卜辞 상 先公은 夒 또는 夔와 兕, 土, 季, 王亥, 王恆으로 대표되고 후대 문헌에 夒 또는 夔는 帝喾, 兕는 契에 해당함으로 추측되고, 土는 相土, 季는 冥으로 와전되었다. 商代에는 河, 岳, 土가 자연을 대표해 제사되었는데 河, 岳과 달리 土는 당대 왕실에 해를 줄지 여부를..

인문과학 2025.06.11

帝喾은 女神인가

帝喾은 商族 遠祖로 알려진 대륙 창세신화 속 임금 또는 동방 최고신 帝俊이 되기도 한다. 갑골학자들에 의하면 그는 갑골문의 夒 또는 夔에서 나왔다. 夒자와 夔자는 오늘날 필체도 같아서 사실상 구분이 없어 보인다물론 夒와 夔자의 뜻은 夒는 원숭이고 夔는 어느 기이한 신화 속 짐승으로, 갑골문 서체만 보아도 두 글자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발음도 夒자는 náo로 어조가 부드럽고 夔자는 kuí로 어조가 강하다. 갑골문 서체만 봐도 夒자는 다소 푸근한 인상이 느껴지지만 夔자는 마치 외계인과 같이 기괴한 느낌이 든다다만 夔자는 夒의 부수자므로 夔는 夒에서 파생된 것 같다어느 학설에 따르면 商 왕족의 기원이 오늘날에 중국 동북방 출신임이 유력해짐에 따라 갑골문 夒는 훙산 시대 뉴허량 유적 여신상을 본떴다고도 한다..

인문과학 2023.12.10

갑골문의 帝喾과 契

帝喾과 契 父子는 전설상 商族의 遠祖로 갑골학자들은 商代 왕실이 풍년을 기원하며 제사를 올린 조상신을 그린 문자에서 그 기원을 찾는다갑골문에서도 帝喾과 契은 인물이 서로 다른 것 같은데 帝喾은 갑골문의 夒, 유인원 또는 괴이한 모습을 한 짐승 모습에서 나왔다. 즉 神獣다. 夔로도 불린다契은 갑골문에서 夒 또는 夔가 무기, 농기구(戌)를 뒤로 쥔 모습을 그린 문자에서 나왔다. 商 왕실은 풍년을 기원하며 이것에도 제사를 지냈다. 戛이라고도 한다. 夒 또는 夔가 동물 神이면 契은 반인반수 神인 것 같다갑골문에서 契로 밝혀진 문자는 마치 周族 시조이자 농경신 后稷과도 같은데 그렇다면 帝喾 - 后稷 父子 전승도 商代 갑골문에서 채록되어 나왔을 것이다고대사의 수수께끼가 또 하나 풀린 것 같다周 문명은 商 문명을 그..

인문과학 2023.11.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