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四凶 2

악신 四凶을 선신 四岳으로 고치면

饕餮: 四凶 중에서 가장 잘 알려졌으며 직립 보행하는 거한의 파충류 모습이다귀엽고 웃기기도 한 외형과는 달리 단신으로 군부대 하나를 전멸시킬 수 있고, 작은 날개로나마 공중 부유는 할 수 있는데 그 속력은 마하 이상이며 도약력도 눈 깜짝할 새입에서 발하는 원거리 공격기 공기포는 무시무시한 압력을 자랑한다梼兀: 그 괴수의 방어력은 지상에서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는 강도다. 상체에 달린 칼날은 현존하는 기술로는 부러뜨릴 수조차 없으며 그 칼날로 육상과 공중을 향해 참격을 날릴 수도 있다. 덩치가 집채만 하면서도 고속으로 달려 나가며 잠에서 깨면 난폭하게 날뛰지만 칼날을 접었다 펴는 데는 유연하지 못해 그것을 움직이는 건 아주 드물며 평소에는 항시 잠들면서 이산화탄소를 먹이 삼아 정화해 삼림의 역할을 해 준다..

대중문화 2025.07.10

饕餮과 蚩尤

饕餮은 대륙 上古 신화 속 악신으로 梼杌, 窮奇, 渾沌과 함께 四凶으로 알려졌다. 饕餮은 四凶에서 탐욕을 상징하며 다른 특징으로는 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했고 무리 지어 다니면 피해 다니다가 혼자가 된 이들만 노려 공격했다고 전해진다. 인간의 탐욕을 경계하기 위해 商代에는 饕餮文을 제조하기도 했다그러나 饕餮이란 흉물도 중원인들 필요에 의해 창작되었을 것이며 그들이 오랑캐라 깔아뭉갰던 이민족을 멸시하는 뜻이 있었는지로도 다시 해석해야 할 것 같다원래 饕餮은 양쯔강 이남 先史 문화에서 상류층에 의해 권력을 위한 공포 정치 수단으로 쓰인 것이 원본으로, 즉 토템이다. 그러던 것이 중원과 양쯔강 이남 문화권 사이에 교류가 오가며 중원에서 양쯔강 하류로부터 饕餮 신앙을 수용했을 것이고 시대에 따라 창작력이 더..

인문과학 2024.01.03
728x90
반응형